2025년 6월 26일. 한국일보. 라종일 "한일, 과거 제쳐두고 협력만 내세우면 신뢰 지속 어려워"
-
15회 연결
- - 짧은주소 : http://bbi.or.kr/bbs/?t=7S
본문
2025년 6월 26일자. 한국일보. 라종일 "한일, 과거 제쳐두고 협력만 내세우면 신뢰 지속 어려워" [김회경의 질문]
1965년 국교 정상화를 위한 한일 기본조약 체결 이후 60년간 한일관계는 많은 부침을 겪어 왔다. 특히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2015년) 이후 문재인 정부의 합의 파기(2017년), 대법원의 일본 기업에 대한 강제동원 피해 배상 판결(2018년), 일본 정부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2019년) 등이 잇따르며 양국 관계는 '전후 최악'이란 평가와 함께 얼어붙었다. 2023년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한국 기업 기부금으로 강제동원 피해를 배상하는 '제3자 변제' 방안으로 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다. 그러나 셔틀외교 복원 등의 성과에도 대국민 설득 없는 정부의 일방 추진, 일본의 상응 조치를 견인하지 못한 한계는 명확했다. 계엄과 탄핵 정국에 따른 한국의 정권 교체로 수교 60주년을 맞은 한일관계는 다시 한번 분기점에 섰다. 노무현 정부에서 주일 한국대사(2004년 3월~2007년 3월)로 재직한 라종일 동국대 석좌교수는 "지금처럼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한일이 협력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협력에 앞서 일본이 과거 잘못을 인정하는 자세를 보여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풀어가되, 미래지향적 협력을 추구하는 '투 트랙' 기조를 역설하면서 어느 한쪽만 강조해선 외교의 일관성과 균형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새 정부의 국익 중심 실용 외교와 관련해선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지난 정부가 소홀히 한 중국, 러시아와 관계 관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라 석좌교수와의 인터뷰는 23일 서울 자택에서 진행됐다...
댓글목록 0